인캡슐레이션
송신지 Application Layer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하위 계층으로 이동시키면서 각 계층에서 처리한 결과를 캡슐화하는 과정
// 데이터들을 밑으로 내려서 감싸는 과정 ,,마지막엔 결국 01010같은 부호로 변환
디캡슐레이션
수신지의 하위 계층에서 인식한 데이터를 상위 계층으로 이동시키면서 각 네트워크 처리 계층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로 디캡슐화하는 과정
// 데이터들을 다시 풀어서 위로 올려보내는 과정, 부호화 된거를 다시 데이터로 풀어서 위로 올림
동적 라우팅 종류 : AS(Autonomous System) 자치 시스템 , 관리자가 관리하는 라우터의 집합(집단)
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터 간의 라우팅 정보의 교환 및 라우팅테이블의 유지관리를 동적으로 수행하는 프로토콜.
라우터끼리 공유하는 정보(Distance Verctor , Link State) 에 따라
- 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 RIP , IGRP, EIGRP ;; 라우터의 개수로 거리를 산정
- Link State Routing Protocol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
- OSPF , IS-IS 모든 라우터에 정보를 전달해서 최단경로를 알려주는 방법
AS 내부간 , 외부간 구분 방식에 따라
- 내부 라우터 간 : IGP
- RIP,OSPF,IS - IS
- 외부 라우터 간 : EGP
- EGP , BGP , IDRP
업체 종속적인 라우팅 프로토콜
IGRP , EIGRP(시스코)
클래스풀 및 클래스리스 구분에 따라
classful routing
RIP v1 , IGRP
Classless Routing
RIP v2, EIGRP , OSPF, BGP
RIP : 홉 카운트 // 네트워크를 한번씩 건널때 마다 1씩 추가
라우터에서 rip 값 추가하는법 : 인접해있는 장치들의 ip값을 하나씩 넣어준다
- 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 Distance Vector : RIPv2
- Link-State OSPF
- EGP (Exterior Gateway Protocol) : BGP를 이용해
- 여기서는 ASBR 이 gateway 와 비슷함
DISTANCE VECTOR
Link-state
전체 경로학습 → 최적경로계산
Link State, 케이블의 속성
Classful 주소 기준
A. 8비트 , 서브넷 마스크 255.0.0.0 , 주소 범위 0.0.0.0 ~ 127.255..255.255
EX) 1.1.12.2 , 255.0.0.0 8비트에 서브넷 255.0.0.0 = A 클래스
B. 16비트 , 서브넷 마스크 255.255.0.0, 주소 범위 128.0.0.0 ~ 191.255.255.255
C.24비트 ,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주소 범위 192.0.0.0 ~ 223.255.255.255
이러고 비트라던가 뭐가 안맞으면 대충 클래스리스임.
- 대역폭 : OSPF가 대역폭을 기준으로 최적경로를 산출 1.
- 부하
- 지연
- 신뢰도
- 최대전송단위
일정 주기마다 옆으로 하나씩 줌
홉 : 한칸당 크기
루핑을 방지하기 위한 방식 : HOP 제한 , Max Hop 15 RIP
대규모 회사에 쓰이기엔 뭐 크기가 작다.
동적은 알아서 하니까 차선책을 만듬 알아서.
Program
Pro : 앞으로, 미리
gram : 쓰다 적다
hardware: 데이터 처리 시스템(data processing system)을 구성하는 유형의 전기·전자·기계 등의 기구나 장치. 예를 들면, 주기억 장치(main storage), 연산 제어 장치(arithmetic and control unit), 입출력 장치(input/output unit) 등의 총칭이다.
software : 물리적 실체인 하드웨어의 반대어로 만들어진 용어.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은 뜻으로 해석되는 경우도 있으나 프로그램 자신 외에 그 프로그램 자신의 설명서, 그 프로그램에 의해 업무를 수행할 때의 사무 상의 규정이나 절차, 이들을 문서화한 설명서나 색인서도 모두 포함한 전체를 가리킨다.
- System Software : 운영체제
- Application : 특정한 일을 하도록 만들어진 프로그램.
종속성과 호환성의 관계 : 종속성이 높으면 호환성이 낮음. 반대로 호한성이 높으면 종속성이 낮음.
미들웨어란? :운영체제와 어플리케이션 사이에서 있는 소프트웨어
서로 잘 돌아갈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
미들웨어
25p 부터. 시험에 좀 나온다고 함!
jdk java 다운받는 법.
path 지정하는 법
cmd 에서 버전 확인하는법
(win + r , java -version)
JDK 설치 - 톰캣 - 이클립스 -환경변수 - 런온서버
이클립스에서 html 파일 만들어서 inext.html 파일 만들기
톰캣
일단 지금은 배우는 단계이기 때문에 공부를 하는 것은 좋다! 좋지만 결국에 나의 최종목표는 취업이기 때문에 공부를 하더라도 정확한 목표 체계가 없이 무작정 공부를 하면 밑도 끝도 없이 계속 배워야만 한다.
그렇기 때문에 6개월이라는 짧은 시간내에 원하는 목표를 잡고 공부를 하려면 우선,
어느 회사로 취업하고 싶은지 미리 찾아보고 거기서 자주 쓰는 툴이 뭔지, 사용하는 언어는 어떤 것인지 이런 것들을
파악하고 거기에 타겟을 잡고 공부를 해야 당장에 짧은 기간내에 뭔가를 배울 때 길을 잃지않고 원하는 방향으로 학습목표를 잡을 수 있다.
배움엔 끝이 없다. 그렇기에 우리는 항상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내야만 한다.
'Developer Note > 국비과정 수업내용 정리&저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년 08월 06일 (0) | 2024.08.07 |
---|---|
24 년 07월 31일 (0) | 2024.08.07 |
24년 08월 2일 (0) | 2024.08.06 |
24년 08월 05일 (0) | 2024.08.06 |
24년 7월 30일 (0) | 2024.08.06 |